제3보병사단 (미국)은 미국 육군의 정규 사단으로, 1917년 창설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주요 전쟁과 분쟁에 참전했다. '마른의 바위'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유럽 전선에서 추축국과 싸운 유일한 미국 육군 사단이자, 오디 머피를 포함해 전쟁에서 많은 훈장을 받은 군인을 배출했다. 냉전 시대에는 독일에서 주둔하며 소련군에 맞섰으며, 21세기에는 테러와의 전쟁에 참여하여 이라크 자유 작전의 선봉 부대로 활약했다. 현재는 2개의 기갑여단 전투단, 사단 포병 본부, 사단 지원 여단, 항공 전투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지아주 포트 스튜어트에 주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주요 전투에 참전한 미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고 있고, 냉전 시대 주요 사건 연루 및 21세기 미군 재편성 과정을 거치며 대한민국과 미국 워싱턴 주에 부대가 분산 배치되어 독특한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전쟁과 임무 수행을 거쳐 현재는 워싱턴주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를 감독한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주요 전투에 참전한 미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고 있고, 냉전 시대 주요 사건 연루 및 21세기 미군 재편성 과정을 거치며 대한민국과 미국 워싱턴 주에 부대가 분산 배치되어 독특한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전쟁과 임무 수행을 거쳐 현재는 워싱턴주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를 감독한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보병사단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주요 전투에 참전한 미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고 있고, 냉전 시대 주요 사건 연루 및 21세기 미군 재편성 과정을 거치며 대한민국과 미국 워싱턴 주에 부대가 분산 배치되어 독특한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보병사단 - 제24보병사단 (미국) 제24보병사단은 미국 육군의 사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하와이 사단으로 창설되어 재편성 후 한국 전쟁에 가장 먼저 파병되었고, 걸프 전쟁에서도 활약했으나 해체와 재창설을 거쳐 2006년 최종 해체되었다.
1960년 4월 1일 제3보병사단 본부 및 본부 중대로 개편 및 명칭이 변경되었다.[46]
2004년 5월 16일 제3보병사단 본부 및 전술 지휘소로 개편 및 명칭이 변경되었다.[46]
2010년 11월 16일 제3보병사단 본부 및 본부 대대로 개편 및 명칭이 변경되었다.[46]
== 제1차 세계 대전 ==
미국 전쟁부는 1917년 11월 12일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7개월 후인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그린에서 제3사단의 조직을 지시했다. 조직은 1917년 11월 21일에 정규군 부대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이 부대는 캠프 그린, 조지아주 캠프 포레스트, 미시시피주 캠프 쉘비, 텍사스주캠프 스탠리, 트래비스, 버지니아주 캠프 스튜어트, 텍사스주포트 블리스, 포트 클라크, 유타주 포트 더글러스, 캔자스주 포트 리번워스, 워싱턴 막사에 주둔하고 있었다. 훈련은 1917년 11월 말에 시작되었고, 1917년 12월과 1918년 1월에는 주로 미국 북동부 출신의 1만 명의 징집병(매사추세츠주 캠프 데번스, 뉴저지주 캠프 딕스, 버지니아주 캠프 리, 메릴랜드주 캠프 미드, 뉴욕주 캠프 업턴에서 파견)이 사단을 완성했다. 사단의 선발대(제6공병대 및 열차, 선발 파견대, 제5야전 신호대대)는 1917년 12월부터 1918년 2월까지 프랑스로 출항했고, 나머지 사단은 1918년 3월부터 5월까지 뒤따랐다.[5]
제38보병연대는 1918년 7월 프랑스 마른 강을 건너 메지 인근에서 독일군의 공격을 격퇴했다. 이 방어전은 독일군의 공세를 저지하고 연합군의 반격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로 인해 제38보병연대는 "''마른의 바위''"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918년 조지 매튜스 하딩의 몽생페르로 가는 수송 행렬, AEF 부대는 제3미국 보병사단이다.
제3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 11월에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그린에서 편성되었으며, 8개월 후 프랑스에서 첫 전투를 치렀다. 1918년 7월 14일 심야에 사단은 지구를 제압하고 유럽 주둔 미국 원정군 중 하나로서 앤 마른 공세에 참가하여 마른 강가에 전개, 파리를 방어했다. 제7기관총대대는 샤토 티에리에 전개하여 프랑스군의 철수를 독일군의 공격으로부터 지원했다. 주변 부대가 후퇴하는 중, 제30보병연대와 제38보병연대는 계속 싸우며 마른을 지켜냈다. 이로 인해 사단은 후에 "마른의 바위"라고 불렸다. 그 후 프랑스로 귀환한 사단은 요제프 T. 딕만 장군의 지휘하에 1918년 7월 15일부터 독일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블랙 잭으로 불린 존 퍼싱 장군은 제3보병사단을 "미국 군사 역사상 가장 빛나는 부대"라고 평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2명의 병사가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12,940명이 부상당했으며, 3,177명이 전사했다.
=== 주요 참전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앤
샹파뉴-마른
앤-마른
생 미히엘
뫼즈-아르곤
샹파뉴 1918
=== 지휘관 ===
조셉 T. 딕먼 소장
제임스 앤더슨 아이언스 준장
찰스 크로포드 준장
프레드 윈체스터 슬레이든 준장
보몽 B. 버크 소장
프레스턴 브라운 준장
로버트 리 호우즈 소장
== 전간기 ==
제3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 점령 임무를 수행하고 1919년 8월 미국으로 귀환했다. 캠프 파이크, 캠프 루이스 등에서 주둔하며 예비군 훈련, 시민 군사 훈련 캠프 참가자 및 ROTC 생도 훈련 등을 담당했다. 1939년, "삼각" 형태로 재편성되어 임박한 전쟁에 대비한 훈련을 실시했다.
1919년 8월 23일부터 28일 사이에 9개월간의 점령 임무를 마치고 마옌과 그 인근 독일에서 뉴저지주 호보켄의 캠프 메릿에 도착했다. 캠프 메릿에서 모든 비상 기간 요원들이 현역에서 면제되었다. 사단은 아칸소주 캠프 파이크로 이동했으며, 사단 본부는 1919년 8월 31일에 도착했다. 1921년 정규 육군 보병 사단으로 제9군단(미국)에 배정되어 IX 군단(미국)에 배속되었고, 9월에 워싱턴주 캠프 루이스(나중에 포트 루이스로 개칭)로 이동했다.
사단의 부대는 1921년 가을과 1922년 초에 미국 서부와 알래스카 전역으로 파견되었다. 제5보병여단은 워싱턴의 밴쿠버 막사로 본부를 이전했으며, 산하 부대는 워싱턴, 노스다코타 및 알래스카의 부대로 이동했다. 제6보병여단은 유타주 포트 더글러스에 본부를 두었고, 제38보병연대(미국)도 마찬가지였으며, 제30보병연대(미국)는 캘리포니아주샌프란시스코의 프레시디오에 주둔했다. 제3야전포병여단의 부대는 제76야전포병연대가 와이오밍주 포트 D. A. 러셀과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프레시디오로 분산된 것을 제외하고는 캠프 루이스에 배치되었다.
사단의 부대는 일반적으로 여름철 동안 제9군단 지역의 여러 부대에서 조직 예비 부대, 시민 군사 훈련 캠프 참가자 및 ROTC 생도들을 훈련했다. IX 군단(미국), XIX 군단(미국), 제91보병사단(미국), 제96보병사단(미국), 제104보병사단(미국)의 장교들은 조직 예비 캠프에서 훈련을 받았다. 1920년대 중반까지, 사단 본부는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사단장과 몇몇 참모 장교만이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남아 있었으며, 그들은 부대에 대한 진정한 지휘 기능을 수행하지 않았다. 1926년까지, 육군성과 제9군단은 이 상황의 지속 불가능성을 깨닫고 제3사단 본부를 다시 채웠다.
사단 부대의 훈련은 대부분 예비 부대의 훈련을 지원한 후 늦여름과 초가을에 이루어졌다. 1921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사단 부대 집결은 1927년 4월에 있었는데, 당시 제6보병여단을 제외한 모든 부대가 사단 기동을 위해 캠프 루이스에 집결했다. 1931년 8월에 대부분의 "마르네" 사단(제5보병여단과 제3야전포병여단의 일부 제외)이 캘리포니아주 기글링 군사 보호구역에 집결하여 제11기병연대(미국)를 상대로 기동했다. 1937년 4월에 모든 부대가 알래스카의 한 대대를 제외하고 포트 루이스에 집결하여 사단 기동을 펼치면서 사단 전체를 집결시킬 첫 번째 기회가 있었다. 3개월 후 사단은 완전한 부대로 제4군 기동에 참여하지 않고 포트 루이스와 캠프 오드로 분산되었다.
1939년 10월에 제4보병연대(미국)와 제38보병연대가 해체되고 제15보병연대(미국)가 배정되었으며, 야전 포병, 공병, 의무 및 병참 연대가 이후 대대로 재편성되면서 "삼각" 형태로 재편성되었다. 1939년 12월부터 사단은 임박한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수많은 훈련을 실시했다. 그 달, "마르네" 사단 전체가 새로운 삼각 조직을 시험하기 위해 몬터레이에서 수륙 양용 작전을 수행하고 캠프 오드에서 기동 훈련을 받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배치되었다. 캘리포니아에서의 훈련 후, 사단은 포트 루이스로 돌아와 1940년 8월에 포트 루이스와 워싱턴주 센트럴리아 인근에서 제4군 기동에 참여했다. 1941년 4월, "마르네" 사단은 포트 루이스에서 제41보병사단(미국)의 주 방위군을 상대로 작전을 수행하는 IX 군단 기동에 참여했다. 다음 달, 사단은 캘리포니아주 포트 헌터 리겟으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IX 군단이 III 군단(미국)을 상대로 대결하는 제4군 기동에 참여했다. 제3사단은 7월에 포트 루이스로 돌아와 1941년 8월~9월에 포트 루이스-센트럴리아 인근에서 또 다른 제4군 기동에 참여했다.
=== 지휘관 ===
윌리엄 매키 크루익생/William Mackey Cruikshank영어 준장 (1919년 8월)
오라 엘머 헌트/Ora Elmer Hunt영어 준장 (1919년 8월~1919년 10월)
윌리엄 M. 라이트/William M. Wright영어 소장 (1919년 10월~1920년 1월)
에드워드 만 루이스/Edward Mann Lewis영어 준장 (1920년 1월~1921년 8월)
찰스 헨리 뮤어/Charles Henry Muir영어 소장 (1921년 8월~1922년 11월)
율리시스 G. 맥알렉산더/Ulysses G. McAlexander영어 준장 (1922년 11월~1923년 11월)
에드윈 B. 바비트/Edwin Burr Babbitt영어 소장 (1923년 11월~1924년 5월)
조셉 E. 쿤/Joseph E. Kuhn영어 준장 (1924년 5월~1924년 12월)
윌리엄 H. 존스턴/William Johnston, Jr.영어 소장 (1924년 12월~1925년 10월)
로버트 알렉산더/Robert Alexander영어 소장 (1925년 10월~1927년 8월)
조셉 D. 레이치/Joseph Dickman Leitch영어 소장 (1927년 9월~1928년 3월)
마이클 J. 레니한/Michael Joseph Lenihan영어 준장 (1928년 3월~1929년 3월)
조셉 컴턴 캐스트너/Joseph Compton Castner영어 준장 (1929년 4월~1932년 11월)
할스테드 도레이/Halstead Dorey영어 준장 (1932년~1933년)
헨리 W. 버트너/Henry W. Butts영어 준장 (1933년~1934년 2월)
오토 B. 로젠바움/Otto B. Rosenbaum영어 준장 (1934년 2월~1935년 8월)
캐스퍼 H. 콘래드 주니어/Casper H. Conrad, Jr.영어 소장 (1935년 8월~1936년 8월)
데이비드 L. 스톤/David L. Stone영어 소장 (1936년 9월~1937년 3월)
알프레드 T. 스미스/Alfred T. Smith영어 준장 (1937년 7월~1938년 1월)
월터 C. 스위니 시니어/Walter C. Sweeney, Sr.영어 소장 (1939년~1940년)
== 제2차 세계 대전 ==
제3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선의 모든 곳에서 추축국과 싸운 유일한 미국 육군 사단이었으며,[12] 공격적인 지상 전투 작전에 참여한 최초의 미국 전투 부대 중 하나였다. 전쟁에서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미국 군인인 오디 머피는 제3사단에서 복무했다.[13] 제3보병사단은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531일 연속으로 전투를 치렀다.[14] 전쟁 기간 동안 제3보병사단은 제7, 제15, 제30보병연대로 구성되었다.
사단은 1942년 11월 8일에 모로코 페다라에 상륙하여 북아프리카 침공에서 태스크 포스의 일부로 행동하며, 프랑스령 모로코의 절반을 제압했다. 8개월 후인 1943년 7월 10일에 사단은 시칠리아 상륙 작전의 일환으로 시칠리아의 리카타 서쪽 해변에 상륙했다. 9일 후에 이탈리아 본토에 침공하여 1943년 9월 18일에 살레르노에 상륙, 볼투르노 강을 건너 카시노로 전진했다.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안치오 상륙 작전에서 싸웠으며, 1944년 1월 22일에 미영 연합의 제6군단의 산하로 들어갔다. 1944년 2월 29일, 사단은 독일 제3사단을 격퇴했다. 안치오에서의 하루 전투에서 900명 이상이 사망했는데, 이는 미군 부대 중 최다 기록이다.
5월 말에 사단은 북프랑스 침공을 위한 훈련을 시작했다. 1944년 8월 15일부터 남프랑스 상륙작전에 참가하여 보주 산맥을 넘어 론 계곡을 따라 진격하여, 스트라스부르에서 라인강을 건너, 1944년 11월 26일부터 27일에 걸쳐 생트로페에 상륙했다. 방어선을 확보한 후, 1945년 1월 23일 콜마르 포켓 전투에 참가했으며, 3월 15일에는 남츠바이브뤼켄의 지크프리트 선에서 전투를 벌였다. 사단은 방어선을 전진시키고, 1945년 3월 26일에 라인강을 건너, 1945년 4월 17일부터 20일까지 뉘른베르크에서 격렬한 전투를 벌여 점령했다. 이후 1945년 4월 27일부터 30일까지 아우크스부르크와 뮌헨에서 싸웠으며, 유럽에서의 전투가 종료되었을 때는 잘츠부르크에 위치해 있었다. 제7보병연대는 베르히테스가르덴에서 히틀러의 은신처를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8,766명이 부상당했으며, 4,922명이 전사했다.[21] 또한, 그 후 전상으로 인해 646명이 사망했다.
3rd Ranger Company 부대가 1951년 임진강을 순찰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한국 전쟁 동안, 제3보병사단은 위기에 대한 신속한 대응으로 인해 "화력 여단"으로 알려졌다.[22] 제3보병사단은 제15보병연대와 함께 포트 베닝에 사령부를 두고 있었다. 제7보병연대는 포트 데번스에 주둔하고 있었다. 제3보병사단은 처음에는 극동 사령부 예비대로서 일본에 도착하여[22] 한반도 북부의 전후 점령 임무를 계획했다.[23] 일본에서 병력은 한국군 증강에 의해 증가되었다. 제3보병사단은 제10군단에 배속되어 11월 5일 한국 동해안의 원산에 상륙했으며, 제65보병연대를 세 번째 기동 부대로 받아 북쪽으로 이동하여 흥남과 마전동으로 이동했다. 마전동에서 그들은 제65보병연대와 함께 방어선을 구축했다. 제7보병연대의 제1대대와 제2대대는 좌익에 배치되었다. 제15보병연대는 제7연대와 제65연대 사이에 있었다. 제7보병연대 제3대대는 태스크 포스 도그의 핵심으로 설정되었으며, 제3사단 부사령관인 아미스테드 D. 미드 준장이 지휘했으며 제1해병연대 제1대대와 진흥리에서 임무 교대를 수행하고 제1해병사단과 제31연대 전투단의 장진호 전투 철수를 지원하기 위해 북쪽으로 파견되었다. 제3보병사단의 태스크 포스 도그는 해병대 열의 압박을 유지하는 후위 부대였다. 제3보병사단은 제7보병사단과 함께 제10군단이 철수할 때까지 흥남 항구 주변에 붕괴 방어선을 구축했다. 제3보병사단은 흥남을 떠난 마지막 부대였으며 부산으로 수송되어 12월 30일에 하역을 완료하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경주로 이동했으며 12월 31일에는 제8군 예비대로 배치되어 재편성 및 재장비를 마친 후 평택-안성 지역으로 이동할 예정이었다. 그 후 사단은 미국 제1군단으로 배속되었다.
1953년 1월 제3보병사단은 제1군단에서 이동했다. 제3보병사단은 1953년까지 한국에서 복무했으며, 철수했다. 특히 제3보병사단은 철원-금화 지역, 잭슨 하이츠 및 애로우헤드 전초 기지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1953년 7월 금성 지역에서 공격을 막았다.
제3보병사단은 10개의 전투 별을 받았다. 한국 전쟁 중 부대원 11명이 명예 훈장을 추가로 받았다. 8명은 제7보병연대에서 받았다. 제리 K. 크럼프(1951년 9월 6일과 7일), 존 에세배거 주니어(1951년 4월 25일), 찰스 L. 길리랜드(1951년 4월 25일), 클레어 굿블러드(1951년 4월 24일과 25일), 노아 O. 나이트(1951년 11월 23일과 24일), 다윈 K. 카일(1951년 2월 16일), 르로이 A. 멘돈카(1951년 7월 4일) 및 미야무라 히로시, 그의 훈장은 기밀로 지정되어 그의 귀환(1951년 4월 24일과 25일)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세 명의 수여자는 제15보병연대 소속이었다. 에모리 L. 베넷(1951년 6월 24일), 올라 L. 마이즈(1953년 6월 10일과 11일) 및 찰스 F. 펜들턴(1953년 7월 16일과 17일)이다.
한국 전쟁 중 제3보병사단은 2,160명의 전사자와 7,939명의 부상자를 기록했다.
정전 협정 이후, 제3보병사단은 1954년까지 한국에 주둔하다가 병력이 거의 0으로 줄어들었고, 부대기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으로 이전되었으며, 1954년 12월, 제47보병사단이 제3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 주요 참전 전투 ===
중공군 개입
제1차 유엔 반격
중공군 춘계 공세
유엔 하계-추계 공세
제2차 한국 겨울
한국, 1952년 하계-추계
제3차 한국 겨울
한국, 1953년 하계
=== 지휘관 ===
로버트 H. 소울 소장
토머스 J. 크로스 소장
로버트 L. 덜레이니 소장
조지 W. 스마이트 소장
유진 W. 라이딩스 소장
== 냉전 시대 (1953년 ~ 2000년) ==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제3보병사단은 1954년까지 한국에 주둔하다가 병력이 감축되어 포트 베닝으로 이동했다. 이후 제47보병사단이 제3보병사단으로 재지정되었다.[24]1957년에는 펜토믹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1958년부터 1996년까지 제3보병사단은 독일 뷔르츠부르크, 슈바인푸르트, 키칭겐, 아샤펜부르크 등지에 주둔하며 V 군단 및 VII 군단 소속으로 냉전의 최전선에서 소련군에 맞섰다.
제3보병사단 구조 1989 (확대하려면 클릭)
1961년 베를린 장벽 위기 당시, 제7보병연대(제3보병사단 소속)의 증강된 1개 중대가 서베를린으로 이동하여 자유 통행권을 확인했다.
1990년 걸프 전쟁 발발 후, 6,000명 이상의 제3보병사단 장병들이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전하여 메디나 능선 전투에서 활약했다.[24] 제3여단은 이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1991년에는 쿠르드족 난민 지원을 위해 컴포트 작전에 참여했다.
1996년, 제24보병사단이 해체되면서 제3보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포트 스튜어트, 포트 베닝, 헌터 육군 비행장으로 재배치되었다. 이후 쿠웨이트, 이집트, 보스니아, 코소보 등에서 평화 유지 임무를 수행했다.
=== 지휘관 ===
찰스 D. W. 캐넘 소장 (1953년 11월 – 1954년 11월)
헤이든 L. 보트너 소장 (1954년 12월 – 1955년 10월)
조지 E. 린치 소장 (1955년 10월 – 1957년 2월)
프레데릭 R. 지어라트 준장 (1957년 3월 – 1957년 3월)
로이 E. 린드퀴스트 소장 (1957년 3월 – 1958년 8월)
존 S. 업햄 2세 소장 (1958년 8월 – 1960년 4월)
앨버트 왓슨 2세 소장 (1960년 4월 – 1961년 4월)
윌리엄 W. 딕 주니어 소장 (1961년 4월 – 1962년 4월)
모리스 O. 에드워즈 준장 (1962년 4월 – 1962년 6월)
프랭크 T. 밀드런 소장 (1962년 6월 –
2. 1. 제1차 세계 대전
미국 전쟁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War)는 1917년 11월 12일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7개월 후인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그린에서 제3사단의 조직을 지시했다. 조직은 1917년 11월 21일에 정규군 부대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이 부대는 캠프 그린, 조지아주 캠프 포레스트, 미시시피주 캠프 쉘비, 텍사스주캠프 스탠리, 트래비스, 버지니아주 캠프 스튜어트, 텍사스주포트 블리스, 포트 클라크, 유타주 포트 더글러스, 캔자스주 포트 리번워스, 워싱턴 막사에 주둔하고 있었다. 훈련은 1917년 11월 말에 시작되었고, 1917년 12월과 1918년 1월에는 주로 미국 북동부 출신의 1만 명의 징집병(매사추세츠주 캠프 데번스, 뉴저지주 캠프 딕스, 버지니아주 캠프 리, 메릴랜드주 캠프 미드, 뉴욕주 캠프 업턴에서 파견)이 사단을 완성했다. 사단의 선발대(제6공병대 및 열차, 선발 파견대, 제5야전 신호대대)는 1917년 12월부터 1918년 2월까지 프랑스로 출항했고, 나머지 사단은 1918년 3월부터 5월까지 뒤따랐다.[5]
제3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7년 11월에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그린에서 편성되었으며, 8개월 후 프랑스에서 첫 전투를 치렀다. 1918년 7월 14일 심야에 사단은 지구를 제압하고 유럽 주둔 미국 원정군 중 하나로서 앤 마른 공세에 참가하여 마른 강가에 전개, 파리를 방어했다. 제7기관총대대는 샤토 티에리에 전개하여 프랑스군의 철수를 독일군의 공격으로부터 지원했다. 주변 부대가 후퇴하는 중, 제30보병연대와 제38보병연대는 계속 싸우며 마른을 지켜냈다. 이로 인해 사단은 후에 "마른의 바위"라고 불렸다. 그 후 프랑스로 귀환한 사단은 요제프 T. 딕만 장군의 지휘하에 1918년 7월 15일부터 독일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블랙 잭으로 불린 존 퍼싱 장군은 제3보병사단을 "미국 군사 역사상 가장 빛나는 부대"라고 평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2명의 병사가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12,940명이 부상당했으며, 3,177명이 전사했다.
제3보병사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 점령 임무를 수행하고 1919년 8월 미국으로 귀환했다. 캠프 파이크, 캠프 루이스 등에서 주둔하며 예비군 훈련, 시민 군사 훈련 캠프 참가자 및 ROTC 생도 훈련 등을 담당했다. 1939년, "삼각" 형태로 재편성되어 임박한 전쟁에 대비한 훈련을 실시했다.
1919년 8월 23일부터 28일 사이에 9개월간의 점령 임무를 마치고 마옌과 그 인근 독일에서 뉴저지주 호보켄의 캠프 메릿에 도착했다. 캠프 메릿에서 모든 비상 기간 요원들이 현역에서 면제되었다. 사단은 아칸소주 캠프 파이크로 이동했으며, 사단 본부는 1919년 8월 31일에 도착했다. 1921년 정규 육군 보병 사단으로 제9군단(미국)에 배정되어 IX 군단(미국)에 배속되었고, 9월에 워싱턴주 캠프 루이스(나중에 포트 루이스로 개칭)로 이동했다.
사단의 부대는 1921년 가을과 1922년 초에 미국 서부와 알래스카 전역으로 파견되었다. 제5보병여단은 워싱턴의 밴쿠버 막사로 본부를 이전했으며, 산하 부대는 워싱턴, 노스다코타 및 알래스카의 부대로 이동했다. 제6보병여단은 유타주 포트 더글러스에 본부를 두었고, 제38보병연대(미국)도 마찬가지였으며, 제30보병연대(미국)는 캘리포니아주샌프란시스코의 프레시디오에 주둔했다. 제3야전포병여단의 부대는 제76야전포병연대가 와이오밍주 포트 D. A. 러셀과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프레시디오로 분산된 것을 제외하고는 캠프 루이스에 배치되었다.
사단의 부대는 일반적으로 여름철 동안 제9군단 지역의 여러 부대에서 조직 예비 부대, 시민 군사 훈련 캠프 참가자 및 ROTC 생도들을 훈련했다. IX 군단(미국), XIX 군단(미국), 제91보병사단(미국), 제96보병사단(미국), 제104보병사단(미국)의 장교들은 조직 예비 캠프에서 훈련을 받았다. 1920년대 중반까지, 사단 본부는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었고, 사단장과 몇몇 참모 장교만이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남아 있었으며, 그들은 부대에 대한 진정한 지휘 기능을 수행하지 않았다. 1926년까지, 육군성과 제9군단은 이 상황의 지속 불가능성을 깨닫고 제3사단 본부를 다시 채웠다.
사단 부대의 훈련은 대부분 예비 부대의 훈련을 지원한 후 늦여름과 초가을에 이루어졌다. 1921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사단 부대 집결은 1927년 4월에 있었는데, 당시 제6보병여단을 제외한 모든 부대가 사단 기동을 위해 캠프 루이스에 집결했다. 1931년 8월에 대부분의 "마르네" 사단(제5보병여단과 제3야전포병여단의 일부 제외)이 캘리포니아주 기글링 군사 보호구역에 집결하여 제11기병연대(미국)를 상대로 기동했다. 1937년 4월에 모든 부대가 알래스카의 한 대대를 제외하고 포트 루이스에 집결하여 사단 기동을 펼치면서 사단 전체를 집결시킬 첫 번째 기회가 있었다. 3개월 후 사단은 완전한 부대로 제4군 기동에 참여하지 않고 포트 루이스와 캠프 오드로 분산되었다.
1939년 10월에 제4보병연대(미국)와 제38보병연대가 해체되고 제15보병연대(미국)가 배정되었으며, 야전 포병, 공병, 의무 및 병참 연대가 이후 대대로 재편성되면서 "삼각" 형태로 재편성되었다. 1939년 12월부터 사단은 임박한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수많은 훈련을 실시했다. 그 달, "마르네" 사단 전체가 새로운 삼각 조직을 시험하기 위해 몬터레이에서 수륙 양용 작전을 수행하고 캠프 오드에서 기동 훈련을 받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배치되었다. 캘리포니아에서의 훈련 후, 사단은 포트 루이스로 돌아와 1940년 8월에 포트 루이스와 워싱턴주 센트럴리아 인근에서 제4군 기동에 참여했다. 1941년 4월, "마르네" 사단은 포트 루이스에서 제41보병사단(미국)의 주 방위군을 상대로 작전을 수행하는 IX 군단 기동에 참여했다. 다음 달, 사단은 캘리포니아주 포트 헌터 리겟으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IX 군단이 III 군단(미국)을 상대로 대결하는 제4군 기동에 참여했다. 제3사단은 7월에 포트 루이스로 돌아와 1941년 8월~9월에 포트 루이스-센트럴리아 인근에서 또 다른 제4군 기동에 참여했다.
'''지휘관'''
윌리엄 매키 크루익생/William Mackey Cruikshank영어 준장 (1919년 8월)
오라 엘머 헌트/Ora Elmer Hunt영어 준장 (1919년 8월~1919년 10월)
윌리엄 M. 라이트/William M. Wright영어 소장 (1919년 10월~1920년 1월)
에드워드 만 루이스/Edward Mann Lewis영어 준장 (1920년 1월~1921년 8월)
찰스 헨리 뮤어/Charles Henry Muir영어 소장 (1921년 8월~1922년 11월)
율리시스 G. 맥알렉산더/Ulysses G. McAlexander영어 준장 (1922년 11월~1923년 11월)
에드윈 B. 바비트/Edwin Burr Babbitt영어 소장 (1923년 11월~1924년 5월)
조셉 E. 쿤/Joseph E. Kuhn영어 준장 (1924년 5월~1924년 12월)
윌리엄 H. 존스턴/William Johnston, Jr.영어 소장 (1924년 12월~1925년 10월)
로버트 알렉산더/Robert Alexander영어 소장 (1925년 10월~1927년 8월)
조셉 D. 레이치/Joseph Dickman Leitch영어 소장 (1927년 9월~1928년 3월)
마이클 J. 레니한/Michael Joseph Lenihan영어 준장 (1928년 3월~1929년 3월)
조셉 컴턴 캐스트너/Joseph Compton Castner영어 준장 (1929년 4월~1932년 11월)
할스테드 도레이/Halstead Dorey영어 준장 (1932년~1933년)
헨리 W. 버트너/Henry W. Butts영어 준장 (1933년~1934년 2월)
오토 B. 로젠바움/Otto B. Rosenbaum영어 준장 (1934년 2월~1935년 8월)
캐스퍼 H. 콘래드 주니어/Casper H. Conrad, Jr.영어 소장 (1935년 8월~1936년 8월)
데이비드 L. 스톤/David L. Stone영어 소장 (1936년 9월~1937년 3월)
알프레드 T. 스미스/Alfred T. Smith영어 준장 (1937년 7월~1938년 1월)
월터 C. 스위니 시니어/Walter C. Sweeney, Sr.영어 소장 (1939년~1940년)
2. 2. 1. 지휘관
제3보병사단 (미국)의 지휘관 목록은 다음과 같다.
윌리엄 매키 크루익생/William Mackey Cruikshank영어 준장
오라 엘머 헌트/Ora Elmer Hunt영어 준장
윌리엄 M. 라이트/William M. Wright영어 소장
에드워드 만 루이스/Edward Mann Lewis영어 준장
찰스 헨리 뮤어/Charles Henry Muir영어 소장
율리시스 G. 맥알렉산더/Ulysses G. McAlexander영어 준장
에드윈 버 바비트/Edwin Burr Babbitt영어 소장
조셉 E. 쿤/Joseph E. Kuhn영어 준장
윌리엄 존스턴 주니어/William Johnston, Jr.영어 소장
로버트 알렉산더/Robert Alexander영어 소장
조셉 D. 레이치/Joseph Dickman Leitch영어 소장
마이클 조셉 레니한/Michael Joseph Lenihan영어 준장
조셉 컴턴 캐스트너/Joseph Compton Castner영어 준장
할스테드 도레이/Halstead Dorey영어 준장
헨리 W. 버트너/Henry W. Butts영어 준장
오토 B. 로젠바움/Otto B. Rosenbaum영어 준장
캐스퍼 H. 콘래드 주니어/Casper H. Conrad, Jr.영어 소장
데이비드 L. 스톤/David L. Stone영어 소장
알프레드 T. 스미스/Alfred T. Smith영어 준장
월터 C. 스위니 시니어/Walter C. Sweeney, Sr.영어 소장
2. 3. 제2차 세계 대전
제3보병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선의 모든 곳에서 추축국과 싸운 유일한 미국 육군 사단이었으며,[12] 공격적인 지상 전투 작전에 참여한 최초의 미국 전투 부대 중 하나였다. 전쟁에서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미국 군인인 오디 머피는 제3사단에서 복무했다.[13] 제3보병사단은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531일 연속으로 전투를 치렀다.[14] 전쟁 기간 동안 제3보병사단은 제7, 제15, 제30보병연대로 구성되었다.
사단은 1942년 11월 8일에 모로코 페다라에 상륙하여 북아프리카 침공에서 태스크 포스의 일부로 행동하며, 프랑스령 모로코의 절반을 제압했다. 8개월 후인 1943년 7월 10일에 사단은 시칠리아 상륙 작전의 일환으로 시칠리아의 리카타 서쪽 해변에 상륙했다. 9일 후에 이탈리아 본토에 침공하여 1943년 9월 18일에 살레르노에 상륙, 볼투르노 강을 건너 카시노로 전진했다.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안치오 상륙 작전에서 싸웠으며, 1944년 1월 22일에 미영 연합의 제6군단의 산하로 들어갔다. 1944년 2월 29일, 사단은 독일 제3사단을 격퇴했다. 안치오에서의 하루 전투에서 900명 이상이 사망했는데, 이는 미군 부대 중 최다 기록이다.
5월 말에 사단은 북프랑스 침공을 위한 훈련을 시작했다. 1944년 8월 15일부터 남프랑스 상륙작전에 참가하여 보주 산맥을 넘어 론 계곡을 따라 진격하여, 스트라스부르에서 라인강을 건너, 1944년 11월 26일부터 27일에 걸쳐 생트로페에 상륙했다. 방어선을 확보한 후, 1945년 1월 23일 콜마르 포켓 전투에 참가했으며, 3월 15일에는 남츠바이브뤼켄의 지크프리트 선에서 전투를 벌였다. 사단은 방어선을 전진시키고, 1945년 3월 26일에 라인강을 건너, 1945년 4월 17일부터 20일까지 뉘른베르크에서 격렬한 전투를 벌여 점령했다. 이후 1945년 4월 27일부터 30일까지 아우크스부르크와 뮌헨에서 싸웠으며, 유럽에서의 전투가 종료되었을 때는 잘츠부르크에 위치해 있었다. 제7보병연대는 베르히테스가르덴에서 히틀러의 은신처를 발견한 것으로 유명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8,766명이 부상당했으며, 4,922명이 전사했다.[21] 또한, 그 후 전상으로 인해 646명이 사망했다.
한국 전쟁 동안, 제3보병사단은 위기에 대한 신속한 대응으로 인해 "화력 여단"으로 알려졌다.[22] 제3보병사단은 제15보병연대와 함께 포트 베닝에 사령부를 두고 있었다. 제7보병연대는 포트 데번스에 주둔하고 있었다. 제3보병사단은 처음에는 극동 사령부 예비대로서 일본에 도착하여[22] 한반도 북부의 전후 점령 임무를 계획했다.[23] 일본에서 병력은 한국군 증강에 의해 증가되었다. 제3보병사단은 제10군단에 배속되어 11월 5일 한국 동해안의 원산에 상륙했으며, 제65보병연대를 세 번째 기동 부대로 받아 북쪽으로 이동하여 흥남과 마전동으로 이동했다. 마전동에서 그들은 제65보병연대와 함께 방어선을 구축했다. 제7보병연대의 제1대대와 제2대대는 좌익에 배치되었다. 제15보병연대는 제7연대와 제65연대 사이에 있었다. 제7보병연대 제3대대는 태스크 포스 도그의 핵심으로 설정되었으며, 제3사단 부사령관인 아미스테드 D. 미드 준장이 지휘했으며 제1해병연대 제1대대와 진흥리에서 임무 교대를 수행하고 제1해병사단과 제31연대 전투단의 장진호 전투 철수를 지원하기 위해 북쪽으로 파견되었다. 제3보병사단의 태스크 포스 도그는 해병대 열의 압박을 유지하는 후위 부대였다. 제3보병사단은 제7보병사단과 함께 제10군단이 철수할 때까지 흥남 항구 주변에 붕괴 방어선을 구축했다. 제3보병사단은 흥남을 떠난 마지막 부대였으며 부산으로 수송되어 12월 30일에 하역을 완료하고 북쪽으로 이동하여 경주로 이동했으며 12월 31일에는 제8군 예비대로 배치되어 재편성 및 재장비를 마친 후 평택-안성 지역으로 이동할 예정이었다. 그 후 사단은 미국 제1군단으로 배속되었다.
1953년 1월 제3보병사단은 제1군단에서 이동했다. 제3보병사단은 1953년까지 한국에서 복무했으며, 철수했다. 특히 제3보병사단은 철원-금화 지역, 잭슨 하이츠 및 애로우헤드 전초 기지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1953년 7월 금성 지역에서 공격을 막았다.
제3보병사단은 10개의 전투 별을 받았다. 한국 전쟁 중 부대원 11명이 명예 훈장을 추가로 받았다. 8명은 제7보병연대에서 받았다. 제리 K. 크럼프(1951년 9월 6일과 7일), 존 에세배거 주니어(1951년 4월 25일), 찰스 L. 길리랜드(1951년 4월 25일), 클레어 굿블러드(1951년 4월 24일과 25일), 노아 O. 나이트(1951년 11월 23일과 24일), 다윈 K. 카일(1951년 2월 16일), 르로이 A. 멘돈카(1951년 7월 4일) 및 미야무라 히로시, 그의 훈장은 기밀로 지정되어 그의 귀환(1951년 4월 24일과 25일)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세 명의 수여자는 제15보병연대 소속이었다. 에모리 L. 베넷(1951년 6월 24일), 올라 L. 마이즈(1953년 6월 10일과 11일) 및 찰스 F. 펜들턴(1953년 7월 16일과 17일)이다.
한국 전쟁 중 제3보병사단은 2,160명의 전사자와 7,939명의 부상자를 기록했다.
정전 협정 이후, 제3보병사단은 1954년까지 한국에 주둔하다가 병력이 거의 0으로 줄어들었고, 부대기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으로 이전되었으며, 1954년 12월, 제47보병사단이 제3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2. 4. 1. 주요 참전 전투
중공군 개입
제1차 유엔 반격
중공군 춘계 공세
유엔 하계-추계 공세
제2차 한국 겨울
한국, 1952년 하계-추계
제3차 한국 겨울
한국, 1953년 하계
2. 4. 2. 지휘관
위의 입력 정보에 따르면, `source`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summary`에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지휘관 목록을 작성하겠습니다.
로버트 H. 소울 소장
토머스 J. 크로스 소장
로버트 L. 덜레이니 소장
조지 W. 스마이트 소장
유진 W. 라이딩스 소장
2. 5. 냉전 시대 (1953년 ~ 2000년)
1953년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제3보병사단은 1954년까지 한국에 주둔하다가 병력이 감축되어 포트 베닝으로 이동했다. 이후 제47보병사단이 제3보병사단으로 재지정되었다.[24]1957년에는 펜토믹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1958년부터 1996년까지 제3보병사단은 독일 뷔르츠부르크, 슈바인푸르트, 키칭겐, 아샤펜부르크 등지에 주둔하며 V 군단 및 VII 군단 소속으로 냉전의 최전선에서 소련군에 맞섰다.
1961년 베를린 장벽 위기 당시, 제7보병연대(제3보병사단 소속)의 증강된 1개 중대가 서베를린으로 이동하여 자유 통행권을 확인했다.
1990년 걸프 전쟁 발발 후, 6,000명 이상의 제3보병사단 장병들이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전하여 메디나 능선 전투에서 활약했다.[24] 제3여단은 이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1991년에는 쿠르드족 난민 지원을 위해 컴포트 작전에 참여했다.
1996년, 제24보병사단이 해체되면서 제3보병사단으로 재편성되어 포트 스튜어트, 포트 베닝, 헌터 육군 비행장으로 재배치되었다. 이후 쿠웨이트, 이집트, 보스니아, 코소보 등에서 평화 유지 임무를 수행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제3보병사단은 테러와의 전쟁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미국의 군사력을 과시했다. 특히, 이라크 자유 작전에서 선봉 부대로 활약하며 사담 후세인 정권 붕괴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2003년 초, 제3보병사단은 쿠웨이트를 거쳐 이라크로 신속하게 배치되어 이라크 자유 작전의 선봉에 섰다. 이들은 바그다드 국제공항을 점령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 과정에서 폴 레이 스미스 일등 중사가 한국 전쟁 이후 처음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는 영예를 안았다. 제2여단은 "선더 런" 작전을 통해 바그다드 시내로 진입하는 데 성공하여 사담 후세인 정권 붕괴에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제2여단은 2003년 여름 팔루자에 배치되었다가 9월에 미국으로 복귀했다.
2004년부터 제3보병사단은 4개의 "작전 부대"로 재편되었다. 각 부대는 보병, 기갑, 기병, 포병 대대를 포함하는 더 작은 규모의 여단급 편제로 구성되었다. 또한, 공병 여단은 포트 스튜어트에서 제4여단으로 재편되었다.
2005년 1월, 제3보병사단은 이라크에 두 번째로 배치되어 다국적 사단 바그다드(MND-B)의 통제 하에 바그다드 지역을 담당했다. 제1여단과 제3여단은 제42보병사단과 제101공수사단의 지휘를 차례로 받았다. 제4여단은 캘리포니아 주 방위군, 하와이 주 방위군, 조지아 주 방위군, 푸에르토리코 주 방위군 소속 부대들로 구성되어 작전을 수행했다.
2006년 1월, 제3보병사단은 포트 스튜어트와 포트 베닝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2006년 11월부터 2007년까지 다시 이라크에 배치되어 세 번째 임무를 수행했다. 바그다드 작전 지원을 위해 제7기병연대 제3대대는 제82공수사단에 배속되어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 장군의 지휘를 받았다. 2008년에 제7기병연대 제3대대는 제25보병사단과 제4보병사단을 거쳐 포트 스튜어트로 복귀하여 제3보병사단에 재합류했다.
2008년 가을, 제3보병사단 제1여단은 NORTHCOM의 통제를 받는 비상 대기 연방 대응 부대로 지정되어 미국 본토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이들은 조지아 주 포트 스튜어트에서 테러 공격 및 국가 비상사태 대응 훈련을 받았으며, 대량 살상 무기 공격, 군중 통제, 사회 불안 등에 대처하는 능력을 강화했다.[30]
2009년 3월, 제4여단은 기계화보병 여단에서 경보병 여단으로 재편되었다. 2009년 10월, 제3보병사단은 다국적군 북부 사령부(현재 미국 북부 사령부)의 지휘를 받아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했다. 2010년 1월 1일부터는 새로운 새벽 작전을 지원하며 이라크 치안 유지 부대에 대한 조언과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2010년 9월 24일까지 이라크 자유 작전에서 436명의 병사가 전사했다.[33]
2010년 이후 제3보병사단은 아프가니스탄에서도 활약했다. 2012년 12월, 제3병참여단은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어 병참 및 반전 지원을 제공했다.[34]2013년 2월, 제4보병여단 전투단(이후 제2보병여단 전투단으로 재지정)은 아프가니스탄 로가르 주와 와르다크 주에 파병되어 보안 임무를 수행했다.[37]
2017년 4월, 제3보병사단 사령부 병력 약 200명이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기지에 배치되어 자유의 수호 작전을 지원했다.[38]2018년 12월부터는 조지아 육군 주방위군의 제48보병여단전투단 병력이 아프가니스탄에서 NATO 작전을 지원했다.
2015년, 육군 재편의 일환으로 제2여단 전투단이 해체되었고, 일부 중대는 다른 여단의 대대에 합류했다. 제2여단 전투단의 기동 대대는 사단의 다른 여단으로 이동했으며, 제4여단 전투단은 제2여단 전투단으로 재지정되었다.[40] 제42포병여단은 제3보병사단 포병으로 재지정되어 사단의 포병 대대에 대한 훈련 감독을 담당한다.[40] 2015년 말, 제3여단 전투단은 해체되고 제28보병연대 제1대대를 중심으로 하는 대대 전술 부대로 대체되었다.[40]
[1]
웹사이트
World War II Divisional Combat Chronicles
https://history.army[...]
2021-10-08
[2]
웹사이트
3RD INFANTRY DIVISION (UEx)
http://tmg110.tripod[...] [3]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4]
웹사이트
3rd Infantry Division Medal of Honor Recipients
https://home.army.mi[...]
US Army
2020-05-25
[5]
서적
Order of Battle of the United States Land Forces in the World War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88
[6]
웹사이트
Third Infantry Division Memorial
https://www.arlingto[...]
2024-10-10
[7]
웹사이트
Lineages and Honors Information
https://history.army[...]
2021-10-12
[8]
웹사이트
Blue and White Devils
http://www.custermen[...]
United States Army
[9]
서적
History of the Third Division, United States Army, in the World War
https://books.google[...]
M. Dumont Schauberg
[10]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1919-41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10
[11]
웹사이트
Commanding Generals of the Third Infantry Division, United States Army
http://www.warfoto.c[...]
Warfoto.com
2021-02-13
[12]
웹사이트
3rd Infantry Division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5-25
[13]
웹사이트
Lone Sentry: Blue and White Devils: The Story of the 3rd Infantry Division -- WWII G.I. Stories Booklet
http://www.lonesentr[...] [14]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archronicle.[...]
United States Army
[15]
웹사이트
The Dog Hero of the 3rd Infantry Division
https://www.army.mil[...]
2024-04-06
[16]
웹사이트
Offensive, Deliberate Assault, Amphibious, 8 November 1942
https://apps.dtic.mi[...]
2024-10-10
[17]
웹사이트
U.S. 3rd Infantry Division in WWII : Dogface Soldiers
https://www.dogfaces[...]
2024-10-10
[18]
웹사이트
A dog called Chips – US War Dogs Heritage Museum {{!}} National Headquarters
https://uswardogsher[...]
2024-04-06
[19]
문서
Stanton, Shelby, ''World War II Order of Battle: An Encyclopedic Reference to U.S. Army Ground Forces from Battalion through Division, 1939-1946'' (Revised Edition, 2006), p. 80
[20]
웹사이트
World War II: Race to Seize Berchtesgaden
http://www.historyne[...]
Historynet.com
2012-08-14
[21]
문서
Army Battle Casualties and Nonbattle Deaths (Statistical and Accounting Branch, Office of the Adjutant General), 1 June 1953
[22]
문서
Rottman, Gordon L., Korean War order of batt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Incorporated, December 2002
[23]
문서
Cowart, Glenn C. (1992). Miracle in Korea: The Evacuation of X Corps from the Hungnam Beachhead.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4]
웹사이트
These were the 6 most massive tank battles in US history
http://www.wearethem[...]
2016-03-24
[25]
웹사이트
MG Tony Cucolo {{!}} Commanding General {{!}} 3rd Infantry Division
http://www.stewart.a[...] [26]
뉴스
Fort Stewart has new commander
http://coastalcourie[...]
2017-05-11
[27]
웹사이트
Division Artillery History
http://www.stewart.a[...]
2017-06-23
[28]
웹사이트
The U.S. Army in the Iraq War: Volume 2 Surge and Withdrawal 2007-2011
https://publications[...]
U.S. Army War College Press
2021-03-22
[29]
문서
Balko, Radley. [http://reason.com/archives/2011/04/11/constitutional-refuseniks Constitutional Refuseniks], ''[[Reason Magazine|Reason]]'' (May 2011)
[30]
웹사이트
Brigade homeland tours start 1 October
http://www.armytimes[...]
2012-08-14
[31]
웹사이트
Invasion of the Sea-Smurfs
http://www.democracy[...]
2008-10-15
[32]
웹사이트
3d Battalion, 15th Infantry Regiment
http://www.history.a[...]
History.army.mil
2012-08-14
[33]
웹사이트
Fort Stewart Warriors Walk
http://www.stewart.a[...]
Stewart.army.mil
2012-08-14
[34]
웹사이트
3rd ID's Combat Aviation Brigade, others to deploy to Afghanistan this year
http://savannahnow.c[...]
savannahnow.com
2012-08-14
[35]
뉴스
3rd ID Battalion Heads to Afghanistan
http://savannahnow.c[...]
2013-06-13
[36]
뉴스
3rd Infantry Division soldiers tapped for Afghanistan deployment
http://savannahnow.c[...]
2012-01-04
[37]
웹사이트
Vanguard's Mustang Squadron fights until end of mission | Article | The United States Army
http://www.army.mil/[...]
Army.mil
2015-10-13
[38]
웹사이트
Army to Deploy Nearly 6,000 Soldiers to Europe, Afghanistan
http://www.military.[...]
Military.com
2017-04-27
[39]
웹사이트
3rd ID soldiers to deploy to Europe
https://www.armytime[...]
armytimes
2015-02-17
[40]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alion, 3d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41]
웹사이트
The Dragon
https://www.15thinfa[...]
2022-06-08
[42]
웹사이트
3rd Infantry Division's 2nd Brigade goes back to armored status
https://www.savannah[...] [43]
웹사이트
3rd Infantry Division Artillery
https://www.facebook[...]
Facebook.com
2015-10-13
[44]
웹사이트
Division Artillery
http://www.stewart.a[...]
2015-01-16
[45]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HHC) Aviation Brigade 3rd Infantry Division
http://www.history.a[...]
History.army.mil
2012-08-14
[46]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alion, 3d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http://www.history.a[...]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CMH)
2011-06-19
[47]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ery 3d Infantry Division Artillery
http://www.history.a[...]
2011-06-19
[48]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Aviation Brigade 3d Infantry Division
http://www.history.a[...]
2011-06-19
[49]
웹사이트
The War on Terrorism: Unit Award Orders & Citation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2023-08-06
[50]
웹사이트
3rd ID Band Lineage and Honors
http://www.history.a[...]
history.army.mil
2011-06-19
[51]
웹사이트
Recipients Page
http://www.stewart.a[...]
2011-06-20
[52]
웹사이트
Dog Face Soldier Song - About
http://www.stewart.a[...]
2023-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